선진국 2

1979년 전후의 일본과 극히 유사한 한국경제

2012년 5월 19일 김광수 경제연구소에 올렸던 글입니다. 링크 --> https://cafe.daum.net/kseriforum/7ofr/16115 당시 예상과 극히 유사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미국정부가 중국의 대항마로 일본 대신 한국을 키워주고 있어요. MB 집권기 초기부터 4년간 국내 상위 1% 에게는 급격한 부(富)의 이전이 있었습니다. 친대기업정책 때문이지요. 현재로서 한국은 상류층으로 가기 위한 에스컬레이터가 99%는 제거된 상태입니다. 성장률이 3%대로 떨어지면서 경제 시스템의 와꾸가 빈틈없이 짜여진 상태입니다. 어떤 사회현상의 실체적 진실을 보려면 한방향에서만 보아선 객관성을 잃기가 쉽습니다. 지금의 한국 경제와 정치도 이런 측면에서 다각도로 짚어봐야 합니다. 2008년부터 한국의 경제..

경제 2022.06.19

지금 같은 금리인상 시기가 내집마련 적기입니다.

대부분의 무주택자들은 언론에서 연일 쏟아붓는 아파트 폭락 기사에 관망하는 자세로 일관하게 됩니다. 기다리면 기다릴수록 더 싸게 살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저점을 맞출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서 고점 대비 20% 또는 30% 폭락시 과감하게 매수로 들어간다고 계획을 미리 잡아야 합니다. 특히 서울 4대문 안의 대단지 아파트는 이렇게 접근하는게 이성적입니다. 대부분의 무주택자들은 감정적이겠지만요. OECD에 가입한 미국, 영국,독일,프랑스같은 주요 선진국들의 특징을 보면 어느 나라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에서 4만달러가 되어가는 기간에 부동산과 주식의 보유유무에 따라 개인간 자산의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습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에 도달한..

재테크 2022.06.16